미래 항공산업을 이끌어나갈 "신의 손" 항공대학 항공정비학과
동남권 유일의 항공대학 신라대학교 항공정비학과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유망직종으로 각광 받는 항공정비사(Aircaraft Maintenance Enginner)를 전문적으로 양성하는 학과입니다.
국토교통부 지정 전문교육기관 운영
전국 최고 수준의 항공정비 실습시설을 보유한 항공기술교육원
항공전자정비사 교육과정 운영
최신 항공 산업 및 4차 산업 트렌드를 반영한 엔지니어링 역량 교육
항공정비사 필수 자격증 취득
항공정비기능사(장비/기체/기관/전자), 항공산업기사, 항공정비사 등
주요 취업 성과
(주)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주)
에어부산(주)
(주)티웨이항공
(주)진에어
SIAEC
육군 정비직 군무원
해병대 정비직 군무원
공군 부사관 및 장교
취득 자격증
항공정비기능사(장비/기체/기관/전자)
항공산업기사
항공정비사(비행기/헬리콥터)
항공정비사(전자·전기·계기)
항공기사
항공기체기술사
항공기관기술사
교육과정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SILLA UNIVERSITY
주요프로그램
항공정비사 양성 프로그램
항공정비 실습 강화 프로그램
자격증 취득 중심 프로그램
졸업 후 진로
국내외 민간항공사 및 항공운수업체
(주)대한항공, (주)아시아나항공
항공기 MRO 전문업체
KAEMS, Korean Air TC
항공기 및 부품 제조업체
(주)한국항공우주산업, (주)아스트
공무원 분야
항공정비기술 부사관, 장교, 군무원
교수소개
김영인
교수(학과장)
051-999-5751
항공추진공학,항공역학(2학년), 열역학, 유체역학(3학년)
alad@silla.ac.kr
양용만
교수
051-999-5763
재료역학(2학년),항공법규(2학년), 첨단복합소재(3학년)
aeromeca@silla.ac.kr
이영환
교수
051-999-6346
항공기재료(1학년), 연료제어 시스템Ⅰ(2학년),항공정비관리(3학년)
yhwanlee@silla.ac.kr
선규원
교수
항공기체Ⅰ(1학년), 항공기 판금(1학년),항공기 시스템제어Ⅱ(3학년)
737sunny@naver.com
박소남
교수
051-999-5658
항공기관Ⅰ(1학년), 항공기 가스터빈엔진Ⅱ(2학년), 프로펠러 및 엔진검사Ⅱ(3학년)
sonam111@naver.com
교과명(국문) | 교과명(영문) | 학점/시수 |
---|---|---|
열역학 | Thermodynamics | 3/3 |
열역학의 개념과 용어, 물질의 성질과 열역학적 상태량, 에너지 및 일과 열전달, 열역학 제1법칙, 열역학 제2법칙, 엔트로피, 기체와 증기의 특성 및 흐름, 각 열기관 사이클, 냉동 사이클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 ||
항공기 인증 및 감항성 | Aircraft Certification and Airworthiness | 3/3 |
항공안전과 감항성, 국내외 항공기 인증, Type Certificate(TC), Supplemental type Certificate(STC), Production certification(PC), Airworthiness certificate(AC), Parts manufacturer approvals(PMA), Technical Standard Order Authorization(TSOA), Continued airworthiness(CA)에 대하여 학습한다. | ||
인적성능 및 한계 | Human Factors | 3/3 |
항공정비작업에 있어 인적요인의 중요성과 개념을 학습하고 실제 항공인적 사고 사례를 통하여 안전에 대해 학습한다. | ||
프로펠러 및 엔진검사 I | Propeller Systems and Engine Inspections I | 3/4 |
항공기 프로펠러의 추진 원리 및 이론, 구조 및 구성품, 프로펠러 장탈과 장착, 수리, 지상 검사에 대하여 학습하고 각 시스템별로 기초실습을 실시한다. | ||
항공기시스템 제어 I | Aircraft System Control I | 3/4 |
항공기 환경제어시스템, 제방 및 방빙 시스템, 강우 제어시스템, 항공기 소화시스템에 대하여 학습하고 각 시스템별 실습한다. | ||
유체역학 | Fluid Mechanics | 3/3 |
유체 정역학, 유체 운동학, 베르누이 방정식, 에너지 방정식, 유동 시스템, Navier-Stokes 방정식, 양력과 항력, 압축성 유동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 ||
첨단복합소재 | Advanced Composite Material | 3/3 |
최근 항공분야에 사용되는 첨단 복합소재의 종류 및 특징, 구조적 특성 및 역할에 대해 학습하고 복합소재의 종류 및 특징에 대해 이해하고, 복합소재의 구조적 및 기계적 특성을 학습한다. | ||
항공정비관리 | Aviation Maintenance Management | 3/3 |
항공정비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정비를 위한 운영 방식을 학습하며 품질관리, 생산관리, 항공기 정비관리, 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하여 학습한다. | ||
엔진감시 및 작동시스템 II | Engine Monitor and Operation System II | 3/4 |
항공기 가스터빈 엔진의 윤활시스템 부품 장탈 및 장착, 연료시스템 부품의 장탈 및 장착, 점화시스템 부품의 장탈 및 장착, 시동시스템 부품의 장탈 및 장착, 엔진 화재감시 및 소화시스템 부품의 장탈 및 장착에 대하여 실습한다. | ||
항공기시스템 제어 II | Aircraft System Control II | 3/4 |
C172, PA-28, Learjet 항공기의 기술도서에 의거 항공기 환경제어시스템, 제방 및 방빙 시스템, 강우 제어시스템, 항공기 소화시스템에 대하여 계통 실습을 실시한다. |